엔지켐생명과학(대표 손기영)은 지난 14일(미국 현지시각) 글로벌 최상위 그룹 임상시험수탁기관(CRO: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여러 곳이 참여한 선정평가(bid defense)결과, 미국 내 COVID-19 백신·치료제 임상 수십 건을 리드하고 있는 PRA(PRA Health Sciences)와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신속한 임상 진행을 위해 글로벌 상위 10위 안에 포진한 CRO들의 제안만 받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 임상시험의 성패를 좌우하는데 중요한 것은 CRO가 확보한 임상사이트 수와 임상연구 수행능력이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5,200개 이상의 임상사이트를 보유한 PRA가 CRO로 선정됐다는 소식은 COVID-19 임상의 순조로운 출발을 의..
바이오마커(생체표지자) 기반 혁신신약 개발 기업 메드팩토(대표 김성진)는 오는 11월 미국에서 열리는 면역항암학회 학술대회(SITC 2020)에서 '백토서팁'에 대한 2건의 성과 발표가 확정됐다고 5일 밝혔다. 메드팩토는 대장암 환자 대상의 병용임상 내 VRGS(Vactosertib Response Gene Signature) 바이오마커 발굴에 대한 초기성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특히, 이 내용은 SITC에서 별도의 구두 발표 대상으로도 선정돼 더욱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현재 메드팩토는 이번 임상에서 환자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VRGS'라는 바이오마커를 발굴, 반응률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를 목표로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 같은 임상이 정립되면 치료 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에게만 약물을 선..
아미코젠이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이하 레진) 국산화 사업 국책과제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본 과제는 바이오의약품 생산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레진을 국산화 하기 위한 국책과제로, 정부출연금은 총73억원 규모이며 아미코젠을 주축으로한 5개 기업이 컨소시엄으로 구성된다. 아미코젠은 이미 레진용 Protein A 원천 기술 개발을 완료하여 2018년 특허를 등록 하였고, 스웨덴 Bio-Works사와 함께 바이오의약품 생산용 레진을 상용화 하여 판매중이다. 이번 국산화 과제를 통해 공정 수율, 품질 우수성 입증 및 대량 생산 인프라를 확보할 예정이다. 레진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항체 분리 정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원재료로서 바이오 의약품 뿐만 아니라 동물약품 및 면역진단제품을 생산하는..
▲ 테라젠바이오 연구소 테라젠바이오(대표 황태순)는 코로나19 방역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는 첫번째 국책과제인 '코로나19 조기 진단 기술 고도화' 연구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이 공동 운영하는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단 추진 '제1차 감염병 방역기술개발사업'의 일환이다. 치열한 경쟁 끝에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은 테라젠바이오는 앞으로 2년 6개월간 국고를 지원받아 코로나19 등 감염병의 대규모 전수조사를 위한 진단법을 개발하게 된다. 특히 이번 국책과제는 주관기관 선정 과정에서는 방역 현장 활용과 사업화 전략 등 연구 결과의 상용화 가능성에 가장 큰 무게를 둔 것으로 알려져 실제 경제 효과가 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T6RgY/btqF4TNC776/nLHHj98b4ksm7K6gnOyXPk/img.png)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후보는 28일(화) 울산을 찾아 반구대 암각화와 수소실증화단지를 방문한다. 국보 285호인 반구대 암각화는 큰 비만 오면 물에 잠겨 사연댐 수위를 낮추고, 부족한 식수는 운문댐 물을 끌어오는 방안이 국가적으로 추진됐다. 그럼에도 진척이 없자 최근 송철호 울산시장이‘암각화 보존과 물 문제’를 한국판 뉴딜에 포함시킬 것을 공식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이 후보는 울산의 주요 현안 사업인 ‘2030년 세계 최고 수소도시 육성’추진을 위한 수소실증화단지를 방문해 ‘수소도시’를 꿈꾸는 울산의 미래를 둘러볼 예정이다. 이 후보는 “2019년 국무총리 시절 저의 주재로 낙동강 물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만큼 식수 공급과 암각화 침수 문제를 함께 해결하도록 협의하겠다”라며, “국보인..
더불어민주당 최혜영 의원(보건복지위원회)은 21일, 아동학대행위자에 대한 강제적 사후관리와 재발방지를 위한 상담‧교육 이수를 의무화고, 이를 위반했을 경우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은「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 또한 아동학대범죄 최초 신고 시에 사법경찰관리와 아동학대전문전담공무원이 현장에 동행하여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조치토록 하는「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일부개정법률안」도 발의했다. 가정에서 학대를 당해 부모와 격리되었던 아이들이 원가정 복귀 후 재학대에 내몰리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끊이지 않고 있다. 2018년 아동학대 주요 통계자료에 따르면, 피해아동의 82%가 원가정 보호를 받았고, 재학대 사례 건수는 2016년 1,591건에서 2018년 2,543건으로 증가했다. 그..
국회 미래통합당 강기윤(경남 창원시 성산구, 보건복지위원회)의원은 20일 영유아를 동반한 사람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공중화장실 기저귀교환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공중화장실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 했다. 현행법은 공항시설, 도로의 휴게시설 등 사람의 통행이 많은 공중화장실에 영유아용 기저귀교환대를 설치하여야 하는 규정이 있지만 기저귀교환대의 구조·재질 등 규격에 관한 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아 안전관리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영유아용 기저귀교환대의 구조·재질 등 규격에 관한 기준을 규정함으로써 기저귀교환대가 일정 규격에 맞게 설치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기점검·수시점검을 할 수 있게 된다. 강 의원은"하루 빨리 전국에 있는 모든 공중화장실 기저귀교환대에 대한 점검이 이..
㈜셀리버리가 한국시간, 7월 21일 미국 암학회 (AACR) 주관 「코로나19와 암 (COVID-19 & CANCER)」 특별 컨퍼런스에서 「내재면역 제어 항바이러스/항염증 코로나19 면역치료제 iCP-NI」를 세계 최초로 보고했다. 이번 코로나19와 암 컨퍼런스에는 미 국립 알레르기 및 전염병 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 NIAID) 앤서니 파우치 (Anthony Fauci) 소장이 기조연설자로 참여하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일반 감기 그 이상』 이라는 주제로 발표하는 등, 현재 전세계적인 판데믹인 코로나19 관련 최신 치료제와 백신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번 학회는 얀센 (미국, 글로벌 1위 존슨앤존슨의 신약부분자회사),..
세계 각국의 날씨 예보 기관에서 그 어느 때보다 무더운 올해 여름을 전망한 가운데, 집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라이프 트렌드가 지속되며 실내 불쾌지수 감소에 도움을 주는 생활가전이 각광받는 추세다. 특히 날씨가 더워지면 주변 환경에 예민해지기 마련으로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을 도와주는 가전으로 청소기가 더 주목 받고 있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흡입력은 기본, 먼지흡입은 물론 물걸레청소까지 한꺼번에 하여 깨끗한 청소를 돕는 제품을 사용해야 하며, 흡입구와 먼지통 등 불쾌 요소를 일으킬 수도 있는 청소기 주요 부품 또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 먼지 흡입과 물걸레 청소를 동시에… 집 안 곳곳에 쾌적함 부르는 'LG 코드제로 A9S ThinQ' LG전자는 더 가볍고 슬림해진 흡입구..
허태정 시장과 더불어민주당이 지역 현안 해결을 위한 협력 행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허태정 시장은 21일 오전 10시 30분 국회본관 더불어민주당 대표회의실에서 더불어민주당-충청권 예산정책협의회를 갖고, 조속한 대전 혁신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유치 등 14건의 현안과제를 비롯한 50건의 내년도 국비확보 과제에 대한 지원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이해찬 당대표를 비롯한 예산 관련 주요 당직자와 조승래 대전시당위원장과 충청권 4개 시도지사가 함께 참석해 충청권 상생발전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허태정 시장은 "전반기 동안 지역 정치권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시 출범 70년 만에 국비 3조원 시대를 열었다"며 "올해 국비도 지난해보다 9.5% 증가한 3,529억 원을 확보해 많은 숙원사업들이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