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
ⓒ이머니뉴스 |
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2015년부터 일자리, 관광, 119, CCTV 등 도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적 대안을 제시해 왔다. 이 과정에서 공공 및 민간부문의 빅데이터 150억개 이상을 쌓을 수 있게 됐고 이를 도정 전분야로 확대해 활용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경기도가 보유한 주요 빅데이터는 '경기도 맞춤형 일자리 빅데이터 분석'에 사용한 국민연금, 워크넷 등 공공부문의 데이터 2천만개 이상, '관광, 119구급차량, CCTV분석' 등에 사용한 통신사 유동인구, 카드사 매출 등 민간 데이터 150억개 이상 등이다. 여기에 학교/상가/보육시설, CCTV 설치지역, 주요관광지 정보 등 다양한 공공분야 빅데이터도 있다.
도는 이들 빅데이터가 도 주요 정책수립은 물론, 현황 파악 및 개선사항 발굴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이 보유한 빅데이터는 아파트별 경제인구, 취업 및 실업인구, 평균 월소득 등을 알 수 있어 일자리, 여성, 보육, 도시주택 관련 정책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통신사가 보유한 내·외국인 유동인구 데이터와 카드사 매출 데이터는 관광, 상권, 다문화 등 다양한 분야의 정책 수립에 주요 기반이 될 수 있다.
실제로 빅데이터담당관실은 최근 군산 GM사태가 불거질 당시 일자리부서에 경기도내 GM근로자 거주 분포 등을 분석해 해당 부서가 현황파악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도 했다.
경기도 관계자는 "5월부터 각 부서와 사업소를 대상으로 먼저 지원을 시작하고, 하반기부터는 시군과 산하 공공기관까지 빅데이터 분석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빅데이터가 4차 산업혁명의 근간인 점을 감안할 때 경기도가 4차 산업을 이끌어가는 선도적 지자체의 모델을 만들어 가는 셈"이라고 말했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401
'시사.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머니뉴스] 트위터, 화제의 키워드 '삼성증권' (0) | 2018.04.16 |
---|---|
[이머니뉴스] 직장인 10명 중 8명, "수면 부족에 시달려" (0) | 2018.04.16 |
[이머니뉴스] 전남도, 전국 광역자치단체 평가 3개월 연속 1위 (0) | 2018.04.15 |
[이머니뉴스] 광주시, 9월 개최 '전국 대학생 소통콘텐츠 경연대회' 준비 돌입 (0) | 2018.04.15 |
[이머니뉴스] 경남지역, 올해 첫 미세먼지 '경보' 단계 발령 (0) | 2018.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