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상북도는 한국소비자원이 최근 발표한 소비생활지표 조사결과를 인용, 경북지역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소비생활만족 점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발표했다고 25일 밝혔다.
※ 한국소비자원은 국민이 체감하는 소비생활 여건, 만족, 문제 경험 등을 측정‧분석하여 격년 주기로 ꡔ한국의 소비생활지표ꡕ를 발표함으로써 한국인의 현재 및 미래 소비생활을 조망함.
▸ 전국 20세 이상 남녀 5,000명 대상 설문조사 시행(2017.7.26.∼8.22.)
▸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1.39%
소비자가 평가한 종합 소비생활만족 지수 전국 평균은 76.6점을 기록하여 2015년(63.8점)보다 12.8점 향상, 2013년(71.6점)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소비생활만족 점수로는 경북(81.2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경남(80.6점), 부산·대구(80.5점) 등 경상권이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제주(67.8점), 세종(65.4점), 전남(65.1점), 강원(61.2점)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경북지역 분야별 소비생활 만족점수를 살펴보면 식품외식분야(84.7)가 가장 높고 뷰티위생분야(82.1), 의류(80.7), 의료(80.1), 문화여가(80.1)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생활 만족도가 높아졌다고 소비자문제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소비생활에서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 비율은 43.4%로 2015년(59.6%)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다수의 소비자가 소비생활 중에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소비자문제 경험률을 보면 전국 평균에 비해 경북에서의 경험률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경북도에서는 이번 한국의 소비생활지표에서 경북의 소비생활만족도가 전국 1위를 기록한 것은 도에서 추진한 지역실정을 반영한 소비자행정과 정책이 크게 반영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현명한 소비를 위한 사회적 배려계층 교육 ▶ 소비생활 불만 상담 등 소비자행복센터 운영 ▶ 행복한 소비자포럼 등 다양한 소비자권익증진사업 ▶ 경북 소비자행복플랜(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 ▶ 민․관․산학연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 운영 등을 통해 지역소비자의 권익을 증진시키고 있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도민들이 소비생활 만족을 체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기업 프렌들리'에서 '소비자 프렌들리'로 정책방향을 전환하고 앞으로도 소비자가 행복한 경북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380
※ 한국소비자원은 국민이 체감하는 소비생활 여건, 만족, 문제 경험 등을 측정‧분석하여 격년 주기로 ꡔ한국의 소비생활지표ꡕ를 발표함으로써 한국인의 현재 및 미래 소비생활을 조망함.
▸ 전국 20세 이상 남녀 5,000명 대상 설문조사 시행(2017.7.26.∼8.22.)
▸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1.39%
소비자가 평가한 종합 소비생활만족 지수 전국 평균은 76.6점을 기록하여 2015년(63.8점)보다 12.8점 향상, 2013년(71.6점)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소비생활만족 점수로는 경북(81.2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으며, 그 뒤를 이어 경남(80.6점), 부산·대구(80.5점) 등 경상권이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제주(67.8점), 세종(65.4점), 전남(65.1점), 강원(61.2점) 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자료제공: 경상북도청 |
![]() |
자료제공: 경상북도청 |
소비생활에서 문제를 경험한 소비자 비율은 43.4%로 2015년(59.6%)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다수의 소비자가 소비생활 중에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품목별 소비자문제 경험률을 보면 전국 평균에 비해 경북에서의 경험률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
자료제공: 경상북도청 |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 현명한 소비를 위한 사회적 배려계층 교육 ▶ 소비생활 불만 상담 등 소비자행복센터 운영 ▶ 행복한 소비자포럼 등 다양한 소비자권익증진사업 ▶ 경북 소비자행복플랜(시행계획) 수립 및 시행 ▶ 민․관․산학연 협력적 거버넌스 체제 운영 등을 통해 지역소비자의 권익을 증진시키고 있다.
우병윤 경상북도 경제부지사는 "도민들이 소비생활 만족을 체감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기업 프렌들리'에서 '소비자 프렌들리'로 정책방향을 전환하고 앞으로도 소비자가 행복한 경북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고 밝혔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380
'시사.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머니뉴스] 충남도, "수출 700억 불 돌파" 역대 최고액 찍는다 (0) | 2017.12.25 |
---|---|
[이머니뉴스] 울산시, '2017년 주요 시정' 결산 (0) | 2017.12.25 |
[이머니뉴스] 올해 11개 중 고교 독도 청소년명예대원 학생 149명 독도 탐방 (0) | 2017.12.25 |
[이머니뉴스] 광주시 마을교육공동체, 마을-학교 경계를 허물다 (0) | 2017.12.25 |
[이머니뉴스] 광주시, 참전 독립유공자국가보훈대상자 예우 강화 (0) | 2017.12.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