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기도의 전체 1인가구는 103만 명으로 이 중 중장년층이 약 46만명, 전체의 4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7일 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II: 1인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경기도 1인가구의 비율은 2000년과 비교해 10%상승한 23%며, 2000년 약 34만 명에서 2015년에는 103만 명으로 약 70만 명가량 증가했다. 이 가운데 중장년층(40~64세)이 약 46만 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청년층(20~39세)은 37만 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가구 증가의 원인으로 청년층은 결혼 지연과 포기, 중장년층은 이혼, 경제위기, 기러기 가족, 비혼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가구의 자가소유비중은 37.7%로 다인가구 세대주의 59.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중장년층 1인가구(42.1%)는 같은 세대 다인가구 세대주(66.2%)에 비하여 자가소유비중이 현저히 낮았다.

경기도내 반전세‧월세, 무상의 주거 형태는 주로 1인가구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1인 가구의 반전세‧월세 비중은 25.7%로 다인가구 세대주의 4.6%에 비해 매우 높아 주거 불안정으로 인한 월소득에서 주거비 지출 비중이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청년은 안정적인 수입원 확보로 인해 원가족에서 독립하여 상대적으로 정규직의 비중이 높은 편이나, 중장년 1인가구는 비정규직 비율이 57.8%, 노년은 93.0%로 1인가구에서 비정규직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가구는 실업, 질병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노출될 시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하여 가족 및 친척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며 "특히, 중장년 1인가구는 비정규직 비중이 높아 고용불안정성이 높지만, 정책 지원범위에서는 배제되는 경향이 있어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하여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1인가구의 지원방안으로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정책 ▲개인중심의 사회보장제도로의 전환 ▲1인가구 주거 안정을 위한 공동체 주택 및 협동조합 주택 제도 활성화를 제시했다.

최 연구위원은 "향후 1인가구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해 핵가족 위주의 사회보장제도를 가족 중심이 아닌 개인 중심으로 전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4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