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
ⓒ이머니뉴스 |
'도내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 공시제'는 전라남도가 2014년부터 지역 중소기업 제품의 판로 확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해온 역점 시책이다.
전남지역 47개 공공기관이 참여해 지역 중소기업 제품을 우선적으로 구매하고, 연 2회(상․하반기) 누리집에 구매 실적을 공시하는 제도다. 참여 공공기관은 도와 22개 시군, 전남개발공사, 여수시도시관리공단, 출연기관 22곳이다.
전라남도는 '2018년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 목표'를 중소기업제품 총 구매 예정액(3조 5천172억 원)의 86.8%에 달하는 3조 532억 원으로 정해 지난 4월 공시한 바 있다.
올 상반기 47개 공공기관 가운데 도와 시군, 공사에서는 중소기업제품 총 구매액 중 84.9%인 1조 6천114억 원 규모를 지역 제품으로 구매했다. 또 2017년부터 이 제도에 참여한 22개 출자․출연기관에서는 중소기업 제품 구매액의 73.3%인 117억 원 규모를 도내 제품으로 구매했다.
도내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율은 시행 첫 해인 2014년 2조 2천902억 원으로 71.2%였던 것이 2015년 2조 6천15억 원(83.3%), 2016년 2조 6천276억 원(83.6%), 2017년 2조 8천935억 원(84.7%)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했다.
이는 전라남도를 포함한 47개 공공기관이 각종 입찰 시 지역 제한을 적극 활용해 지역 제품을 우선 구매하고, 사소한 소모품일지라도 지역에서 생산한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노력한 때문이란 분석이다.
전라남도는 매년 하반기 구매 비중이 늘어난 점을 감안할 때 2018년 우선구매 목표 86.8%를 무난히 달성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앞으로 공공기관의 참여 분위기를 더욱 확산하기 위해 각 기관의 실적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구매를 독려해나갈 계획이다.
박종필 전라남도 중소기업과장은 "중소기업 제품 우선구매 제도가 이제는 안정적으로 정착돼 지역 중소기업 제품 판로 확대에 큰 도움이 되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품질 향상 등의 노력을 통해 판로 기회를 스스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다"며 "민선7기 젊은이가 돌아오는 전남 실현을 위해 중소기업제품 우선구매에 다각적인 협조와 지원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982
'시사.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머니뉴스] 인천 계양구, 추석 명절 대비 물가안정 종합대책 마련 (0) | 2018.09.25 |
---|---|
[이머니뉴스] 서울 중랑구, 연립-빌라-원룸 등에 분리수거함 무상지원 (0) | 2018.09.25 |
[이머니뉴스] 경기도내 389개 약수터 부적합률 2년만에 38.1%→24.3%로 낮아져 (0) | 2018.09.25 |
[이머니뉴스] 광주시, 사회취약계층 환경성질환 예방사업 본격 추진 (0) | 2018.09.25 |
[이머니뉴스] 택시업계 카풀 강력 반발하는데, 한국 직장인 "카풀 허용해야" 90% (0) | 2018.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