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지웰페어(대표이사 조현철)는 지난 14일(화) 공시를 통해 2018년 상반기 연결 사업실적이 큰 폭의 성장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지웰페어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상반기 누적 연결 실적은 매출액 371억원, 영업이익 58억원을 기록했다. 이번에 공개된 실적은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 37%, 영업이익은 110%가 증가한 규모로, 영업 실적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웰페어 관계자는 "주력 사업인 선택적복지 사업의 올해 위탁 예산이 전년 대비 약 20% 가량 증가하는 등 주력 사업 영역에서 호조를 띄었다"면서, "안정적인 외형성장 뿐만 아니라 큰 폭의 영업이익 증가가 이뤄진 데에는 지속적인 고객사 수주 확대 및 온라인 복지포탈의 거래대금 증가, 비용 구조 합리화 노력을 통한 영업레버리지 효과에 따른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이지웰페어의 종속회사 이지웰니스와 인터치투어의 실적 개선도 이어졌다. 이지웰니스는 상반기까지 전년동기 대비 매출액이 11% 증가하고 영업손실을 44% 줄였고, 인터치투어는 매출액이 155% 증가하고 영업손실을 55% 줄여 흑자전환의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이 같은 큰 폭의 영업실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상반기 연결 당기순이익은 순손실 9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이지웰페어 관계자는 "지난 해 운영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한 110억원 규모 전환사채(CB)의 전환권 대가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상 파생상품부채로 재무제표에서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며, "반기말 기준 주가 상승의 영향으로 전환사채의 전환권 가치가 증가함에 따라 인식할 파생상품부채 규모도 커지면서 직전 재무제표와의 차이인 약 61억원을 파생상품평가손실로 인식한 것이 당기순손실 발생의 원인"이라고 밝히면서, "금번 파생상품평가손실은 변동된 부채 금액을 맞추기 위해 장부상 인식한 것일 뿐 실제 손실이 현실화되거나 현금유출을 초래하지 않으며, 향후 전환사채가 주식으로 전환될 경우 파생금융부채는 자본으로 대체되어 재무 건전성이 증대된다"고 덧붙였다.

지난 2011년 상장법인에 의무 도입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서는 전환사채의 전환권 가치를 파생상품부채로 보고 있어, 부채 규모가 증가하는 주가 상승시에는 평가손실이 발생하고 주가 하락시에는 부채 규모가 감소해 평가이익이 발생하지만 실제 현금의 유출입과는 무관하게 장부상으로만 인식된다.

한편 이지웰페어는 온라인 복지포탈의 상품 경쟁력 강화와 이용 편의성 증대를 위하여 모바일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진행 중인 오프라인 복지포인트 신결제 시스템의 성공적인 론칭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34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