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부산경제 체질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5년에 한번씩 전수조사로 실시하는 전국 경제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부산에 있는 사업체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7.67%로 5년 전에 비해 7대도시 중 4위에서 1위로 도약하였다.

같은 기간 부산(0.18%p 증가)과 제주(0.13%p 증가)만 유일하게 영업이익률이 증가되었으며 나머지 14개시도 모두 감소를 보였다. 영업이익률이 증가된 원인은 재료비 등의 원가비중이 2010년 81.1%에서 2015년 77.5%로 3.6%p 줄어든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반면, 같은 기간 인건비의 비중은 13.1%에서 15.9%로 2.8%p증가되어 종사자에 대한 급여는 높이면서 재료비 등 다른 원가는 절감된 것으로 풀이된다.

사업체당 매출액과 영업이익의 증가율도 전국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산은 산업구조상 도소매 숙박·음식점업 등 영세업종의 비중이 높고 대기업이 없어 사업체당 매출액은 전국대비 낮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최근 5년간의 사업체당 매출액을 보면 2010년 8억5천1백만원에서 2015년 9억6천4백만원으로 연평균 2.5%증가되었다. 같은 기간 전국은 12억9천1백만원에서 13억7천1백만원으로 연평균 1.2%증가되어 부산의 연평균 증가율이 2배가량 높다.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2010년 6천3백7십만원에서 2015년 7천3백9십만원으로 연평균 3.0%증가된 반면 같은 기간 전국은 연평균 3.5% 감소된 것과 대비된다.

도시별 사업체당 영업이익을 볼 때 2010년에는 울산이 3억3천만원, 서울이 1억2천2백만원 등 대기업이 집중된 울산과 수도권이 높고 대구, 부산, 광주 등 중소기업 위주의 지방도시는 낮았으며 특히 부산은 6위로 광주보다도 낮았다.

그런데 2015년에는 부산이 7대 도시중 가장 높은 성장을 보이며 특히 수도권인 인천보다도 사업체당 영업이익이 높아지는 등 지방 맹주도시로서의 면모를 과시했다.

또한 부산내 5인 이하 사업체수가 차지하는 비중이 2010년 85.3%에서 2015년에는 82.3%로 3.0%p감소된 반면 전국 100인 이상 사업체수 중 부산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6.5%에서 6.6%로 0.1%p 증가되는 등 규모면에서도 부산 업체의 영세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1인당 총급여도 전국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2010년 부산의 1인당 총급여는 18.4백만원에서 2015년 24.2백만원으로 연평균 5.6%증가되었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증가율인 5.1%보다 0.5%p 높은 성장률이다.

근로자의 질적수준 향상은 상용근로자 분야에서도 나타났다. 상용근로자는 1년 이상의 고용계약과 4대 보험 등 복리후생과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 등으로 양질의 일자리로 구분이 될 수 있다.

통계청이 지난 8월 9일 공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른 2017년 7월 지역별 상용근로자수를 보면 부산의 상용근로자는 82만8천명으로 2년 전인 2015년 7월과 대비하여 8만4천명, 11.3%가 증가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전국평균 증가율인 6.0% 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7대도시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이다.

이에 따라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 비중도 2년 전 58.9%에서 63.2%로 4.3%p가 증가되었으며 이 또한 7대 도시중 가장 높은 증가폭이다.

특히, 같은 기간 대구는 63.0%를 유지하는데 그치고 인천은 61.9%에서 62.8%로 0.9%p 증가에 그쳐 부산이 상용근로자 비중에서 인천과 대구를 넘어서게 되었다.

한편, 수도권 규제완화로 수도권의 경제 집중현상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수도권의 사업체수는 158만개였으나 2015년에는 183만5천개로 연평균 3.0%증가되어 전국평균 증가율인 2.9%보다 높다.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도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2015년 기준)이 각각 55.0%와 50.5%로 5년 전에 비해 0.9%p 및 4.0%p가 증가되었고 지역총생산(GRDP) 역시 49.4%로 0.6%p 증가되었다.

이에 대하여 서병수 부산시장은 "수도권으로 경제 집중현상이 발생되고 있음에도 부산경제의 체질이 개선되고 있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면서 "앞으로 있을 4차 산업 혁명에 대비하여 신산업으로의 체질개선 등에 더욱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수도권으로의 쏠림 현상은 수도권 규제완화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으로 지방분권 강화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해야 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라고 하면서 "부산시는 독자적인 지방분권형 개헌안을 국회에 제출한 상태로 내년에 있을 개헌에 지방의 입장이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477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