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머니뉴스
올해는 전라도 명칭을 사용한지 천년이 되는 해로, 자랑스러운 전라도 정도 천년 역사의 도민 자긍심을 제고하고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하여 다양한「전라도 천년」판을 마련 진행한다.

전라도 명칭이 처음 사용된 1018년의 역사적 의미를 담은 전라도 천년 기념식 등 다양한 문화행사가 10월중 종합적으로 벌어진다.

① 전라도 천년 기념식 및 문화행사

10월 17일부터 18일까지 3개 시도(전북, 광주, 전남)가 함께 모여 전라감영 및 풍남문 일원에서 진행된다.

풍남문 일원에서 진행되는 전야제는 타종식과 함께 미래천년 토크콘서트, 축하 음악회 등 다양한 문화행사로 전라도 천년을 축하하는 축제의 장으로 진행되며,

10월 18일 기념식에는 3개 시․도의 단체장들이 같이 참여하여 천년 기념사, 천년기념 퍼포먼스, 주제공연 등으로 전라도 천년을 잇는 역사를 기념하고 다시 시작하는 더 나은 새로운 천년을 준비하는 의미를 되새기고자 한다.

② 천년 특별기념공연 "국악칸타타"

전라도 천년의 도도한 흐름을 담은 대서사 음악극인 위대한 전통, 한국의 맥 어머니의 땅 천년을 보듬다를 전북도립국악원에서 야심차게 준비하여 10월 11일과 18일 각각 소리문화의 전당과 전라감영에서 두 차례 공연의 막을 올린다

국악 관현악을 기반으로 한 서양합창단, 판소리합창단, 무용, 비보이, 영상, 전라 토속민요 등 120명 규모의 출연진으로 구성된 전라천년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상징하는 5개 국악 칸타타곡은 1년 6개월이 넘는 제작일정으로 완성도를 보여 준다.

③ 전라굴기(全羅崛起), 천년전라기념 특별전

천년의 기상과 비전을 현대미술로 제시하는 <전라굴기-전라여 크게 일어나라> 천년전라기념 특별전이 10월 20일부터 12월 9일까지 전북도립미술관에서 44일간의 전시가 진행된다.

전라도 출신의 창의적인 현대미술가 20여명이 전라산하, 전라사람, 전라굴기 3개 섹션으로 전라미술의 서정성과 역동성을 동시에 반영하는 80여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이밖에도 전라북도는 전광판 등 각종매체 동영상 홍보, 버스광고, 리플릿 등 온ㆍ오프라인을 활용한 홍보를 전개하고,

청원 대상 학이시습의 날 '명사와 함께하는 전라도 천년 특강' 및 '학교로 찾아가는 전라도 천년사 특강' 등 지속적인 '전라도 정도 천년 의미 부각' 활동을 통해서 도민의 자긍심 고취와 자랑스러운 전라도 천년의 의미를 이어가고자 한다.

http://m.emone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880

댓글